"핵심항목 작성양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span style="background:yellow">'''핵심 항목 샘플 페이지 활용방법'''</span>
 
<span style="background:yellow">'''핵심 항목 샘플 페이지 활용방법'''</span>
  
#이 페이지의 검색바 옆에 있는 '편집' 버튼을 눌러 '편집하기 장'으로 이동한 후 아래의 <nowiki>__NOTOC__</nowiki> 부분부터 복사하면 된다.  
+
#이 페이지의 검색바 옆에 있는 '편집' 버튼을 눌러 '편집화면'으로 이동 후 아래의 <nowiki>__NOTOC__</nowiki> 부분부터 복사하면 된다.  
#아래의 샘플 내용을 복사한 후 저장하지 마시고 '편집하기 장'을 닫으면 된다.  
+
#아래의 샘플 내용을 복사한 후 저장하지 마시고 '편집화면'을 닫거나 뒤로 가기를 눌러 빠져나오면 된다.  
#복사한 내용을 새로운 페이지의 '편집' 버튼을 통해 '편집하기 장'에서 내용을 붙여서 먼저 저장하면 된다.  
+
#복사한 내용을 새로운 페이지의 '편집' 버튼을 눌러 '편집화면'으로 이동 후 복사한 내용을 붙여서 먼저 저장하면 된다.  
#그 다음에 각 섹션 제목 옆에 있는 '편집' 링크를 통해 섹션 별로 해당 항목의 정보를 입력하면.(섹션 별로 입력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
#그 다음에 각 섹션 제목 옆에 있는 '편집' 링크를 통해 섹션 별로 해당 항목의 정보를 입력하면 좋다.(섹션 별로 입력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span style="background:red;color:white">'''주의할 점'''</span>
 
<span style="background:red;color:white">'''주의할 점'''</span>
*섹션 중에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섹션은 한중연팀 담당 부분으로 그대로 두어주세요.
 
 
*'''Spatial Data''' 섹션은 Place 등 장소가 있는 대상(Actor 중 기관도 장소가 있으므로 해당)만 넣는 것으로 해당 장소가 없는 항목에는 이 섹션을 삭제주세요(섹션 제목도 남겨놓지 않아요.)  
 
*'''Spatial Data''' 섹션은 Place 등 장소가 있는 대상(Actor 중 기관도 장소가 있으므로 해당)만 넣는 것으로 해당 장소가 없는 항목에는 이 섹션을 삭제주세요(섹션 제목도 남겨놓지 않아요.)  
 
*그 외에 섹션에 정보를 알 맞게 입력해주세요.  
 
*그 외에 섹션에 정보를 알 맞게 입력해주세요.  
21번째 줄: 20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
증심사 십경
 +
 
==Definition==
 
==Definition==
*[[시화문화마을|시화문화마을(時畵文化마을)]]은 각화동 일대에 주민참여로 조성된 전국 최초의 문화마을이다. 지난 2000년 쓰레기장이었던 마을 곳곳에 꽃과 나무를 심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
*원래 마을 이름은 감나무가 많다고 해서 '시화(枾花)마을'이었으나, 문화마을로 조성하고 나서 '시화(詩畵)마을이 되어 마을 입구에 '시화(時畵)가_있는_문화(文化)마을'이라고 크게 안내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서화가이자 교육자인 염재 [[송태회]](念齋 宋泰會‧1872~1941)가 명명했다.
*[[시화문화마을]]은 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의 상징처럼 여겨져 전국 각지에서 벤치마킹 하기 위해 현장답사를 오고 있다.
+
*염재는 1921년 8월 무등산 증심사에서 며칠 묵으면서 칠언절구의 한시로 ‘증심사 십경’을 지었다. 이 자리에는 선암사 승려 야운, 대구 변호사 이규연, 서른을 갓 넘긴 의재 허백련, 열여섯 살의 동강 정운면 등이 함께하면서 서화를 합작하고 시를 지었다.
*[[시화문화마을]]엔 [[시화문화마을문화관]], [[시화문화마을 작은도서관]], [[금봉 미술관]], [[시화문화마을 별자리 학습장]] 등 마을을 찾는 방문객에게 쉼과 예술적 즐거움을 동시에 주고 있다. [[금봉 미술관]]은 의재 [[허백련]] 화백에게 사사한 남봉 [[박행보]] 화백의 작품과 소장품을 전시하고 있다.
+
*염재가 명명한 ‘증심사 십경’은  ⃤ 서석의 떠오르는 해(瑞石初日)  ⃤ 새인봉의 개인 달빛(印峯霽月)  ⃤ 천제단의 때 맞는 비(天壇喜雨)  ⃤ 약사암의 신령스런 지초(藥師靈芝)  ⃤ 차밭의 향기론 이슬(茶田香露)  ⃤ 용추의 나는듯한 폭포(龍湫飛瀑)  ⃤ 운림에서 비롯한 물줄기(雲林水源)  ⃤ 석문의 아름다운 길(石門指路)  ⃤  초경의 오랜된 빗돌(艸逕古碑)  ⃤ 취백루의 새벽 종소리(栢樓曉鍾) 등이다.
*또한, 주택마다 특색있는 문패를 달아 보는 즐거움을 주고 있다.  
+
*『염재유고(念齋遺稿)』(필사본, 후손 소장)에 내용이 전한다.
*[[시화문화마을]]은 [[동광주나들목]]과 [[제2순환도로]]가 인접해 있어 광주를 찾는 방문객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곳이다. 가까운 곳에 [[국립5.18민주묘지]], [[광주호]], [[각화동 농수산물도매시장]], [[무등산]] 등이 있으며, 무등산<ref>김홍운,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3058 무등산(無等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옛길인 [[무돌길]] 제1길이 지나고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34번째 줄: 34번째 줄:
 
! style="width: 100px"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style="width: 100px"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  ||  ||  ||  ||  ||  ||  ||  ||  
+
|증심사_십경 ||Place ||  ||  ||증심사_십경 ||증심사_십경 ||證心寺_十景 ||  ||  ||  
 
|}
 
|}
  
41번째 줄: 41번째 줄: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note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note
 
|-
 
|-
|  ||  ||  || ||
+
|증심사 ||송태회 ||  ||송태회가 지인들과 며칠 묵으며 증심사 십경을 명염한 절 ||
|-
 
|  ||  ||  || ||
 
 
|-
 
|-
|  ||  ||  ||  ||
+
|증심사 십경 ||송태회 ||  || 증심사의 아름다운 경치 열 곳을 한시로 지음 ||
 
|-
 
|-
|  ||  ||  ||  ||
+
|송태회 ||허백련 ||  ||증심사에서 함께 묵으며 서화를 합작함 ||
 
|-
 
|-
|  ||  ||  || ||
+
|염재유고 ||송태회 ||  || 송태회의 필사본 유고집으로 후손이 소장 ||
 
|-
 
|-
|}
 
  
 
== Spatial Data ==
 
== Spatial Data ==
67번째 줄: 64번째 줄:
 
!type||resource||title||description/caption||url
 
!type||resource||title||description/caption||url
 
|-
 
|-
|  || ||  ||  ||
+
|기사 ||뉴시스(2010-9-28, 구길용 기자) ||염재 송태회 재조명 전시회 10월 11일 화순서 개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3453807?sid=103
|-
 
|  || ||  ||  ||  
 
 
|-
 
|-
|  ||  ||  ||  ||  
+
|기사 ||연합뉴스(2010-9-24, 형민우 기자) ||한말 서화가 송태회 선생 삶 조명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669446?sid=103
 
|-
 
|-
|  ||  ||  ||  ||  
+
|기사 ||프라임경제(2010-10-12, 장철호 기자) ||박종석 화백 ‘歲寒을 기약하고’ 화순 전시회 ||  ||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cle/?no=166425
 
|-
 
|-
|}
 
  
 
==Bibliography==
 
==Bibliography==
81번째 줄: 75번째 줄: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
 
|-
|  || ||  || 
+
|단행본 ||『염재유고(念齋遺稿)』 ||  ||   
|-
 
|  || ||  ||   
 
 
|-
 
|-
|  || ||  ||   
+
|단행본 ||박종석, 2010, 『세한(歲寒)을 기약하고-염재 송태회의 삶과 예술-』, 굿디커뮤니케이션스 ||  ||   
 
|-
 
|-
|  ||  ||  ||  
+
|연구보고서 ||*황호균‧김희태, <광주학 문헌과 현장 이야기>-광주향토문화자료총서17,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 2020, 374~379쪽. ||  ||
 
|-
 
|-
|}
 
  
 
== Notes ==
 
== Notes ==
95번째 줄: 86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Graph | key=}}
  
 
+
[[분류:Class]] [[분류:Class/2023]] [[분류:작성자]] [[분류:팀명]]
[[분류:Class]] [[분류:Class/2023]] [[분류:작성자]] [[분류:의미분류]]
 

2023년 12월 30일 (토) 12:13 기준 최신판

핵심 항목 샘플 페이지 활용방법

  1. 이 페이지의 검색바 옆에 있는 '편집' 버튼을 눌러 '편집화면'으로 이동 후 아래의 __NOTOC__ 부분부터 복사하면 된다.
  2. 아래의 샘플 내용을 복사한 후 저장하지 마시고 '편집화면'을 닫거나 뒤로 가기를 눌러 빠져나오면 된다.
  3. 복사한 내용을 새로운 페이지의 '편집' 버튼을 눌러 '편집화면'으로 이동 후 복사한 내용을 붙여서 먼저 저장하면 된다.
  4. 그 다음에 각 섹션 제목 옆에 있는 '편집' 링크를 통해 섹션 별로 해당 항목의 정보를 입력하면 좋다.(섹션 별로 입력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주의할 점

  • Spatial Data 섹션은 Place 등 장소가 있는 대상(Actor 중 기관도 장소가 있으므로 해당)만 넣는 것으로 해당 장소가 없는 항목에는 이 섹션을 삭제주세요(섹션 제목도 남겨놓지 않아요.)
  • 그 외에 섹션에 정보를 알 맞게 입력해주세요.
  •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Bibliography 섹션은 필요에 따가 표의 행을 추가하셔도 됩니다. 단, 빈 행이 있으면 안되므로 작성하지 않은 표의 행은 삭제해주세요.
  • 맨 아래에 있는 분류 정보(Class, 작성자 등)나 구글지도 틀 안에 있는 경위도 정보 등을 수정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이 다음 내용부터 복사하시면 됩니다.


증심사 십경

Definition

  • 일제강점기의 서화가이자 교육자인 염재 송태회(念齋 宋泰會‧1872~1941)가 명명했다.
  • 염재는 1921년 8월 무등산 증심사에서 며칠 묵으면서 칠언절구의 한시로 ‘증심사 십경’을 지었다. 이 자리에는 선암사 승려 야운, 대구 변호사 이규연, 서른을 갓 넘긴 의재 허백련, 열여섯 살의 동강 정운면 등이 함께하면서 서화를 합작하고 시를 지었다.
  • 염재가 명명한 ‘증심사 십경’은 ⃤ 서석의 떠오르는 해(瑞石初日) ⃤ 새인봉의 개인 달빛(印峯霽月) ⃤ 천제단의 때 맞는 비(天壇喜雨) ⃤ 약사암의 신령스런 지초(藥師靈芝) ⃤ 차밭의 향기론 이슬(茶田香露) ⃤ 용추의 나는듯한 폭포(龍湫飛瀑) ⃤ 운림에서 비롯한 물줄기(雲林水源) ⃤ 석문의 아름다운 길(石門指路) ⃤ 초경의 오랜된 빗돌(艸逕古碑) ⃤ 취백루의 새벽 종소리(栢樓曉鍾) 등이다.
  • 『염재유고(念齋遺稿)』(필사본, 후손 소장)에 내용이 전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증심사_십경 Place 증심사_십경 증심사_십경 證心寺_十景

Contextual Relations

Spatial Data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증심사 송태회 송태회가 지인들과 며칠 묵으며 증심사 십경을 명염한 절
증심사 십경 송태회 증심사의 아름다운 경치 열 곳을 한시로 지음
송태회 허백련 증심사에서 함께 묵으며 서화를 합작함
염재유고 송태회 송태회의 필사본 유고집으로 후손이 소장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기사 뉴시스(2010-9-28, 구길용 기자) 염재 송태회 재조명 전시회 10월 11일 화순서 개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3453807?sid=103
기사 연합뉴스(2010-9-24, 형민우 기자) 한말 서화가 송태회 선생 삶 조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669446?sid=103
기사 프라임경제(2010-10-12, 장철호 기자) 박종석 화백 ‘歲寒을 기약하고’ 화순 전시회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cle/?no=166425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단행본 『염재유고(念齋遺稿)』
단행본 박종석, 2010, 『세한(歲寒)을 기약하고-염재 송태회의 삶과 예술-』, 굿디커뮤니케이션스
연구보고서 *황호균‧김희태, <광주학 문헌과 현장 이야기>-광주향토문화자료총서17,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 2020, 374~37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