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2 예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Definition)
10번째 줄: 10번째 줄:
 
*조선의 무신.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광주목에서 아전의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명장 [[정지]](鄭地)의 9대 손이지만 태어날 때는 미천한 출신이어서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이었고, 부(府)에 잔심부름하던 이속을 겸하였다.  
 
*조선의 무신.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광주목에서 아전의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명장 [[정지]](鄭地)의 9대 손이지만 태어날 때는 미천한 출신이어서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이었고, 부(府)에 잔심부름하던 이속을 겸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종군하며 공을 세우고 1593년 행재소에서 실시하는 무과에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이괄의_난 | 이괄(李适)의 난]] 때는 전부대장(前部大將)이 되어 이괄의 군사를 황주와 서울 안산(鞍山)에서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종군하며 공을 세우고 1593년 행재소에서 실시하는 무과에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이괄의_난 | 이괄(李适)의 난]] 때는 전부대장(前部大將)이 되어 이괄의 군사를 황주와 서울 안산(鞍山)에서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부원수를 지냈고, 1633년 조정에서 후금과의 단교를 위하여 사신을 보내려 할 때  이를 반대하여 당진에 유배되었다. 1636년 병이 심해지자 왕이 의관에게 명해 치료에 진력하게 했으나 효험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ref>이장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1022 정충신(鄭忠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았고 덕장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광주_경열사|광주 경열사(光州 景烈祠)]]에 제향되었다.
+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부원수를 지냈고, 1633년 조정에서 후금과의 단교를 위하여 사신을 보내려 할 때  이를 반대하여 당진에 유배되었다. 1636년 병이 심해지자 왕이 의관에게 명해 치료에 진력하게 했으나 효험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ref>이장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1022 정충신(鄭忠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았고 덕장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광주 경열사(光州 景烈祠)에 제향되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3년 10월 24일 (화) 09:14 판

아래는 실습2(정충신) 예시입니다.


Definition

  • 조선의 무신.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광주목에서 아전의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명장 정지(鄭地)의 9대 손이지만 태어날 때는 미천한 출신이어서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이었고, 부(府)에 잔심부름하던 이속을 겸하였다.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종군하며 공을 세우고 1593년 행재소에서 실시하는 무과에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이괄(李适)의 난 때는 전부대장(前部大將)이 되어 이괄의 군사를 황주와 서울 안산(鞍山)에서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부원수를 지냈고, 1633년 조정에서 후금과의 단교를 위하여 사신을 보내려 할 때 이를 반대하여 당진에 유배되었다. 1636년 병이 심해지자 왕이 의관에게 명해 치료에 진력하게 했으나 효험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1]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았고 덕장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광주 경열사(光州 景烈祠)에 제향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정충신 Actor 인물 정충신(鄭忠信, 1576~1636) 정충신 鄭忠信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정충신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정지 정충신 hasDescendant 9대손
정충신 권율 hasOwner
정충신 광주_경열사 isEnshrinedIn
정충신 이괄의_난 participatesIn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시화문화마을 35.1789908 126.9406556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동 각화대로 95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충신(鄭忠信)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1022
해설 위키백과 정충신 https://ko.wikipedia.org/wiki/정충신
참고 금강일보 [신웅운의 시조한담] 정충신의 ‘슬피우는 저 두견아 …’ ( 2015-04-12, 신웅운 중부대 교수)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21616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병천사 정충신을 배향한 병천사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병천사.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논문 박상석, 「노라치 설화의 민족이야기로서의 특징과 각편 간의 쟁점」,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18819
논문 서한숙, 「충무궁 정충신의 생애와 현실인식」, 『한국한문학연구』 81, 한국한문학회, 2021. RISS http://www.riss.kr/link?id=A107354902
단행본 정충신 저, 신해진 역, 『후금 요양성 정탐서』, 보고사, 2020. https://www.google.com/search?q=9791165870669

Notes

  1. 이장희, "정충신(鄭忠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