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광주_충장사|충장사(忠壯祠)]]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김덕령]]의 시호에서 따온 이름으로 김덕령 장군을 모신 사당이다. 무고로 옥사한 후 60년 만에 신원되면서 1678년(숙종 4년)에는 임진왜란의 공신 [[박광옥]]을 추모하는 [[벽진서원]]에 추가 배향되었고, 서원을 중수하면서 ‘의열사(義烈祠)’라고 사액되었다. 벽진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우여곡절을 겪었고, 김덕령을 추모하기 위해 1975년에는 충장사가 조성되었다. [[광주_충장사_유물관|충장사 유물관]]에는 [[김덕령_의복|김덕령 장군의 의복]]과 친필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사당 주변에 김덕령 장군의 묘와 묘비 및 가족묘가 있다.
+
[[광주_원효사|원효사(元曉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 말사이다. 6세기 초~중반 무렵 [[무등산|무등산]] 자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다. [[원효대사(元曉)]]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진리를 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이 곳에 머무르며 수행했다고 전해진다. 6.25 전쟁 때 소실 되어, 1954년부터 주지인 인곡스님과 신도들에 의해 복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 6점, 고려시대의 철불두상, 고려와 조선의 기와 와당 등 32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 32점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있다. 주요전각은 대웅전, 약사전, 성산각, 지장전과 개산조당, 무등선원, 요사채, 회암루 등이 있다. 이중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양식으로, 팔작지붕이다. 현재는 템플스테이, 음악콘서트, 체험 다양한 문화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2년 7월 18일 (월) 01:04 판

Definition

원효사(元曉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 말사이다. 6세기 초~중반 무렵 무등산 자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다. 원효대사(元曉)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진리를 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이 곳에 머무르며 수행했다고 전해진다. 6.25 전쟁 때 소실 되어, 1954년부터 주지인 인곡스님과 신도들에 의해 복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 6점, 고려시대의 철불두상, 고려와 조선의 기와 와당 등 32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 32점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있다. 주요전각은 대웅전, 약사전, 성산각, 지장전과 개산조당, 무등선원, 요사채, 회암루 등이 있다. 이중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양식으로, 팔작지붕이다. 현재는 템플스테이, 음악콘서트, 체험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광주_충장사 Place 사당 충장사(忠壯祠) 충장사 忠壯祠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충장사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광주_충장사 김덕령 enshrines
김덕령_영정 광주_충장사 isStoredIn
김덕령_교지 광주_충장사 isStoredIn
광주_충장사 광주_충장사_동재 hasPart
광주_충장사 광주_충장사_서재 hasPart
광주_충장사 광주_충장사_은륜비각 hasPart
광주_충장사_은륜비각 광주_충장사_은륜비 protects
광주_충장사 광주_충장사_유물관 hasPart
광주_충장사 광주_충장사_충용문 hasPart
광주_충장사 광주_충장사_익호문 hasPart
광주_충장사_은륜비 조철영 calligrapher 광주목사
광주_충장사_은륜비 조철영 writer 광주목사
김덕령_목관 광주_충장사_유물관 currentLocation
김덕령_의복 광주_충장사_유물관 currentLocation 중요민속문화재 제111호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ltitude address
충장사 35.1627679 126.9790383 258.54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송강로 13

※ 참고: 지리 좌표 검색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덕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
해설 위키백과 김덕령 https://ko.wikipedia.org/wiki/김덕령
해설 지역N문화 충장공 김덕령의 충절을 기리는 충장사 https://ncms.nculture.org/righteous-army/story/3894
참고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충장사 김덕령의 충철이 깃든 충장사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86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김영헌,『김덕령 평전』, 향지사, 2006.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125867
논문 서지혜, 『조선시대 광주·전남지역 출토 철릭에 관한 연구 : 15-17세기 철릭의 구성과 바느질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RISS http://www.riss.kr/link?id=T8147700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참고: RISS 논문 검색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 sample data